조선 석탑의 백미
그 옛날 탑골공원 자리에 우뚝 서서 서울의 풍경을 감상했을 이 사찰은 비운의 역사를 맞이하며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그 자리에는 조선 석탑의 백미라 불리는 10층 석탑이 남아 역사의 숨결을 전하고 있습니다.
![]() | |
|
원각사의 흥망성쇠와 석탑의 탄생
1465년 세조의 발원으로 세워진 원각사는 조선 초기 불교 문화의 중심지였습니다. 화려한 건축물과 불상, 그리고 10층 석탑은 당시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1504년 연산군의 폭정으로 원각사는 기생집으로 전락하고, 승려들은 쫓겨나면서 사찰은 폐허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러한 격동의 역사 속에서도 10층 석탑만은 꿋꿋하게 자리를 지켰습니다. 1467년, 즉 원각사 창건 2년 후에 완성된 석탑은 조선 석탑으로는 유일하게 대리석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일반적으로 석탑은 화강암을 사용하는데, 10층 석탑은 대리석의 부드러운 질감과 희고 투명한 색상을 살려 더욱 화려하고 아름다운 외관을 자랑합니다.
10층 석탑의 독보적인 아름다움
10층 석탑의 높이는 약 12m로, 조선 시대 석탑 중에서도 상당히 큰 규모에 속합니다. 탑의 기단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기단의 각 층 옆면에는 용, 사자, 연꽃 등 다양한 문양이 생동감 넘치게 조각되어 있어 보는 이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특히, 대리석의 하얀 바탕 위에 새겨진 조각들은 햇빛을 받아 더욱 빛을 발하며 숭고한 아름다움을 드러냅니다.
탑신부는 10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을 하고 있지만, 4층부터는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습니다. 각 층마다 목조건축의 특징을 살려 지붕, 공포, 기둥 등을 세밀하게 표현하였습니다. 마치 목조 건축물을 석재로 옮겨 놓은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정교한 조각 기술이 돋보입니다.
고려 석탑의 영향과 조선 석탑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10층 석탑은 고려시대의 경천사지 10층 석탑과 매우 유사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려 불교 건축의 전통이 조선 시대에도 이어졌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입니다. 하지만 10층 석탑은 단순히 고려 석탑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조선 시대의 독창적인 미감을 더하여 새로운 형태의 석탑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됩니다.
대리석이라는 독특한 재료와 화려한 조각, 그리고 고려 석탑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조선 시대의 새로운 미감을 담아낸 10층 석탑은 조선 석탑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결론: 역사와 예술이 공존하는 10층 석탑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단순한 돌덩이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조선 초기 불교 문화의 흥망성쇠와 조선 석탑 건축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역사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뛰어난 조각 기술과 아름다운 형태는 예술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에 충분합니다.
오늘날 탑골공원에 남아 있는 10층 석탑은 우리에게 조선 시대 사람들의 뛰어난 예술 감각과 정신을 느끼게 해줍니다. 탑을 바라보며 우리는 과거의 영광과 비극을 되새기고, 조상들의 지혜와 예술 정신을 이어받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