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팔상전: 한국의 유일한 5층 목조탑

한국의 유일한 5층 목조탑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년)에 인도에서 공부를 마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세운 절입니다. 이 절은 한국 불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법주사 팔상전은 그 중에서도 독특한 건축물로 손꼽힙니다. 팔상전은 한국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는 매우 큽니다.


보은 법주사 팔상전
출처: 국가유산청


법주사의 역사와 팔상전의 기원

법주사 팔상전은 임진왜란 이후 다시 지어진 건물로, 현재의 모습은 1968년에 해체·수리된 것입니다. 팔상전이라는 이름은 벽면에 그려진 팔상도(八相圖)에서 유래합니다. 팔상도는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그림으로, 이 그림들이 팔상전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팔상전의 독특한 건축 양식

팔상전은 1층과 2층이 앞·옆면 5칸, 3층과 4층이 앞·옆면 3칸, 5층이 앞·옆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면에는 돌계단이 있으며, 낮은 기단 위에 서 있어 크기에 비해 안정감을 줍니다. 지붕은 꼭대기 꼭지점을 중심으로 4개의 지붕면을 가진 사모지붕으로 만들어졌으며, 지붕 위쪽으로 탑 형식의 머리장식이 달려 있습니다.


주심포와 다포 양식의 조화

팔상전의 건축 양식은 층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 1층부터 4층까지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입니다. 반면, 5층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설치한 다포 양식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이러한 양식의 조화는 팔상전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팔상전 내부의 신비

팔상전의 내부는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공간, 불상과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공간, 그리고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팔상전이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불교 신앙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법주사 팔상전의 특별함

법주사 팔상전은 한국에 남아 있는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유일한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이 탑은 한국 불교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는 매우 큽니다. 또한, 팔상전에 그려진 팔상도는 부처의 일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불교 신앙의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한국 불교의 중요한 유산

법주사 팔상전은 한국 불교 역사와 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그 독특한 건축 양식과 역사적 배경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며, 불교 신앙의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법주사를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팔상전을 꼭 둘러보며 그 아름다움과 의미를 직접 느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