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산중 신라의 울림을 간직한 종
깊은 산중에 울려 퍼지는 은은한 종소리, 그 속에는 천년의 역사와 신라인들의 정신이 담겨 있습니다. 오대산 상원사에 자리한 동종은 단순한 불교 의식 도구를 넘어, 우리 민족의 예술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걸작입니다.
![]() | |
|
신라 성덕왕 24년(725년), 불가사의한 탄생
상원사 동종은 신라 시대 성덕왕 24년, 즉 서기 725년에 만들어졌습니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과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과 함께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입니다. 높이 167cm, 입지름 91cm의 웅장한 크기와 정교한 조각은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냅니다.
용과 연꽃, 천상의 선율을 담다
종의 맨 위에는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을 가진 용은 마치 하늘을 향해 울부짖는 듯한 역동적인 모습입니다. 용은 불교에서 강력한 상징으로, 복을 기원하고 악귀를 물리치는 의미를 지닙니다.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은 연꽃과 덩굴 무늬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습니다. 연꽃은 불교에서 순수와 청정을 상징하며, 덩굴은 생명력과 번성을 의미합니다. 종 몸체의 아래위에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연곽이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이루고 있으며, 그 안에는 덩굴을 새기고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이 드문드문 배치되어 있습니다. 네 곳의 연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연뢰를 9개씩 두었고, 그 밑으로는 구름 위에서 무릎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비천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비천상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구슬과 연꽃 무늬로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했습니다.
뛰어난 조각 수법, 한국 종의 기원을 찾다
상원사 동종은 조각 수법이 뛰어나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종 몸체의 아래와 위의 끝부분이 안으로 좁혀지는 항아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안정감을 주며,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한국 종의 고유한 특색을 갖춘 모본이 되는 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천년의 시간을 품은 소리, 영원한 감동
상원사 동종의 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닙니다. 그것은 천년의 시간을 품은 신비로운 메시지입니다. 깊고 웅장한 음색은 마음을 정화시키고 평화를 가져다주며, 듣는 이의 가슴속 깊은 곳까지 울려 퍼집니다.
상원사 동종, 그 의미를 넘어
상원사 동종은 단순한 불교 의식 도구를 넘어, 우리 민족의 예술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걸작입니다. 뛰어난 조각 수법과 완벽한 비례는 신라인들의 예술적 감각을 보여주며, 견고한 구조는 당시의 높은 금속 가공 기술을 증명합니다.
또한, 상원사 동종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신라 시대 불교 문화의 번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우리 민족의 정신과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상원사 동종, 후대에 전해야 할 유산
상원사 동종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닙니다. 우리가 후대에 물려줘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우리는 상원사 동종을 통해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우리 정신의 뿌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깊은 산중에 울려 퍼지는 상원사 동종의 소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우리는 과거의 위대한 유산을 소중히 보존하고, 후대에 전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상원사 동종을 통해 우리는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되찾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