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 팔각구층석탑: 고려 불교 건축의 정수를 담은 예술품

고즈넉한 고려 불교 건축의 정수를 담은 석탑

깊은 산중의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 자리한 월정사에는 고려시대 불교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국보 제48-1호, 팔각구층석탑이 있습니다. 이 9층 석탑은 웅장한 자태로 보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월정사 8각 9층석탑
출처: 국가유산청


자장율사의 창건과 역사적 배경

월정사는 신라 진평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입니다. 자장율사는 불교의 중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오대산을 중심으로 불교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건립되어 불교 신앙의 중심이 되었을 것입니다.

고려시대는 불교가 국교였던 시대입니다. 불교 문화는 사회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어 건축, 조각, 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꽃을 피웠습니다. 특히 석탑은 불교 신앙을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로,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의 석탑이 건립되었습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8각의 조형미와 9층의 웅장함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8각의 기단 위에 9층의 탑신을 올린 독특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8각은 불교에서 팔정도를 상징하며, 9층은 부처님의 9층 불탑을 상징합니다. 탑의 각 부분은 정교한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특히 지붕돌 밑면의 계단식 받침과 풍경은 탑의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탑의 높이는 약 15미터에 달하며,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고 균형 잡힌 모습을 보여줍니다. 탑신부는 위로 올라갈수록 약간씩 줄어들지만, 2층부터는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어 안정감을 줍니다. 1층 탑신의 네 면에는 작은 감실이 마련되어 있어 불상을 모셨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 불교 건축의 특징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고려시대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석탑과 비교하여 좀 더 화려하고 다양한 양식을 보입니다. 특히 팔각형의 다층석탑은 고려시대 북쪽 지역에서 유행하였으며,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이러한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탑의 균형 잡힌 비례와 정교한 조각은 고려시대 불교 건축의 높은 수준을 보여줍니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은 당시 금속공예의 발달된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문화재로서의 가치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우리 문화유산의 보고입니다. 탑은 고려시대 불교 건축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불교 신앙과 예술의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또한 탑 주변에는 석조공양보살상 등 다양한 문화재가 함께 있어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추가 내용: 월정사의 현재와 보존 노력

오늘날 월정사는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로, 그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정기적인 보수 작업과 함께, 문화재 보호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월정사는 불교 신앙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불교 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불교 문화를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결론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 불교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입니다. 웅장한 자태와 정교한 조각, 그리고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이 탑은 우리에게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남아 있습니다. 깊은 산중에 자리한 월정사를 방문하여 팔각구층석탑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곳에서 고려시대 불교 건축의 정수를 체험하며, 그 역사와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