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사를 품은 성곽여행
서울을 둘러싼 거대한 성곽, 서울 한양도성은 조선 시대의 수도 한양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된 도성입니다.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수도를 한양으로 옮긴 후, 한양을 방어하고 도시를 경계하기 위해 성곽을 건설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서울 곳곳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서울의 자연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산책로로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한양도성의 역사와 주요 성문, 그리고 한양도성을 따라 걸으며 만날 수 있는 명소들을 소개합니다.
![]() |
서울 한양도성 원경 ©국가유산청 |
서울 한양도성의 역사
한양도성은 1396년 태조 5년에 처음 완성되었으며, 흙과 돌을 이용해 축성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석성과 토성이 혼합된 형태였으나, 세종 4년(1422) 대대적인 개축을 거쳐 흙으로 된 부분을 모두 돌로 쌓아 방어력을 강화했습니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보수와 개축이 이루어졌으며, 숙종 30년(1704)에는 정사각형으로 다듬은 돌을 사용해 더욱 견고하게 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훼손되었으며, 도시 개발 과정에서도 일부 구간이 철거되었습니다. 다행히 남아 있는 성벽과 성문들은 복원 과정을 거쳐 현재 서울 한양도성으로 다시금 자리 잡았습니다.
서울 한양도성의 주요 성문
한양도성에는 조선 시대에 세워진 4대문과 4소문이 존재했습니다. 각각의 성문은 한양의 중요한 출입구 역할을 하며, 서울 도심의 역사적 랜드마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 4대문
- 흥인지문(동대문): 서울의 동쪽을 지키는 대문으로, 현재도 관광명소로 유명합니다.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옹성이 함께 설치된 것이 특징입니다.
- 돈의문(서대문): 현재는 남아 있지 않지만, 서쪽 방어의 핵심 역할을 담당했던 문입니다.
- 숭례문(남대문): 대한민국 국보 제1호로 지정된 가장 유명한 성문입니다. 2008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복원을 거쳐 다시 개방되었습니다.
- 숙정문(북대문):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도성의 방어를 위해 평소에는 닫혀 있었습니다.
2. 4소문
- 홍화문(동북 소문): 현재 사라졌으나, 동북쪽 출입구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 광희문(동남 소문): 수구문(물길이 흐르는 곳) 역할을 하며, 남소문으로도 불렸습니다.
- 창의문(서북 소문): 유일하게 원래 모습이 남아 있는 소문으로, 북악산을 오르는 등산객들이 자주 찾는 곳입니다.
- 소덕문(서남 소문):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만, 한양의 남서쪽을 보호하는 성문이었습니다.
서울 한양도성 탐방 코스
서울 한양도성은 총 18.6km 길이로, 여러 구간이 남아 있어 도보 여행을 즐기기에 적합합니다. 대표적인 탐방 코스를 소개합니다.
1. 낙산 구간 (혜화문~흥인지문)
이 구간은 성곽이 비교적 낮고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초보자도 쉽게 걸을 수 있습니다. 대학로와 연결되어 있어 문화와 역사 여행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2. 남산 구간 (숭례문~광희문)
남산을 따라 걷는 이 구간은 서울의 야경을 감상하기에 최적입니다. 특히 서울타워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야경 명소로도 유명합니다.
3. 인왕산 구간 (창의문~숭례문)
가장 자연친화적인 구간으로, 인왕산 정상에서 한양도성과 서울 시내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4. 북악산 구간 (숙정문~창의문)
청와대와 가까운 북악산 구간은 경사가 가파르지만, 한양도성 중 가장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사전 예약이 필요한 탐방로이므로 방문 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 |
광희문 ©국가유산청 |
서울 한양도성 여행의 의미
서울 한양도성은 단순한 성벽이 아니라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소중한 유산입니다. 성곽을 따라 걸으며 옛 한양의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으며, 자연과 함께 조선 시대의 방어 체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서울을 방문한다면 한양도성을 따라 걸으며, 역사의 숨결을 느껴보는 특별한 경험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