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과 왕실의 족보인 선원보략을 보관하기 위해 지어진 다섯 개의 사고 중 하나인 오대산 사고. 이곳은 조선 후기의 중요한 역사적 공간으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한국 역사의 소중한 기록을 보존한 장소입니다. 현재는 "평창 오대산사고"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역사와 문화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여행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평창 오대산 사고의 역사적 가치와 함께 여행 정보를 소개합니다.
![]() |
오대산 사고 ©국가유산청 |
오대산 사고의 역사적 배경
조선 전기에는 『조선왕조실록』을 서울 춘추관과 함께 충주, 전주, 성주에 나누어 보관했습니다. 그러나 1592년 임진왜란으로 인해 전주사고에 보관된 실록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습니다. 이에 선조 39년(1606년)에 다시 사고를 정비하여 춘추관, 태백산, 묘향산, 강화 마니산, 오대산에 사고를 건립하고 실록을 보관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인조 2년(1624년)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1636년)으로 춘추관본이 소실되었고, 이후 정족산, 태백산, 적상산, 오대산에 사고를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정족산본』과 『태백산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으며, 『적상산본』은 한국전쟁 중 사라졌고, 『오대산본』은 일본으로 반출된 후 대부분 소실되었습니다.
오대산 사고의 위치와 특징
오대산 사고는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원래 물, 불, 바람이 침입하지 못하는 상서로운 곳으로 여겨졌으며, 사고를 보호하기 위한 수호사찰로 영감사가 함께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사고를 관리하던 참봉 2명, 군인 60명, 승려 20명이 이곳을 지켰다고 전해집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고의 건물은 소실되었지만, 1992년에 사각과 선원보각을 재건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 오대산 사고는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함께 조선 시대의 문화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명소로 많은 방문객들이 찾고 있습니다.
![]() |
오대산 사고지 ©국가유산청 |
오대산 사고에서 즐길 수 있는 볼거리
1. 사각과 선원보각
1992년에 복원된 사각과 선원보각은 과거 실록과 선원보략을 보관하던 공간입니다. 조선 시대의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는 이곳은 단순한 보관 장소를 넘어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곳입니다.
2. 영감사
사고를 지키던 사찰인 영감사는 오대산의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역사적 가치와 함께 마음의 평온을 얻을 수 있는 명소입니다.
3. 오대산 국립공원 탐방
오대산 사고가 위치한 오대산 국립공원은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자연 명소입니다. 특히 가을 단풍과 겨울 설경이 장관을 이루며, 여행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합니다.
4. 월정사와 전나무숲길
오대산 사고와 함께 방문하면 좋은 명소로 월정사와 전나무숲길이 있습니다. 월정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아름다운 전나무숲길을 따라 걸으며 힐링할 수 있는 명소로 유명합니다.
오대산 사고 여행 정보
- 위치: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국립공원 내
- 입장료: 무료 (국립공원 입장료 별도)
- 운영시간: 연중무휴 (날씨에 따라 방문 가능 여부 확인 필수)
- 주변 맛집: 평창의 대표 음식인 황태구이, 메밀국수 등을 즐길 수 있는 맛집들이 인근에 위치
- 추천 방문 시기: 가을(단풍철)과 겨울(눈꽃 관광)
![]() |
오대산 사고지 전경 ©국가유산청 |
오대산 사고를 방문해야 하는 이유
-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던 역사적 장소
- 조선 시대의 문화유산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공간
- 자연과 함께하는 힐링 여행
- 국내에서 보기 드문 전통 건축물과 사찰 방문 가능
오대산 사고는 단순한 역사 유적지가 아니라, 우리 문화의 정수를 간직한 곳입니다. 강원도 평창을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오대산 사고를 꼭 방문하여 조선왕조실록의 숨결을 느껴보세요.
이처럼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오대산 사고는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여행지로 추천할 만한 곳입니다. 평창 오대산 사고를 통해 과거의 흔적을 따라가며 특별한 여행을 떠나보세요!